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소아구토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연령의 소아에서 가장 흔한 구토의 원인은 위장관염이다. 흔히 바이러스성 장염이라 알고 있는 이 병은 대부분이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쉽게 노출되고 쉽게 병에 이완되는 소아연령에 흔하게 발생하게 된다.

사람의 하부 식도에는 괄약근이라는 근육 구조가 있어서 식도에서 위로 넘어간 음식물이 다시 역류가 되지 않아도 지지해 주는데 신생아 및 어린 영아의 경우에는 이 괄약근의 발달이 미숙하고 또 누어서 생활하는 시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고형식을 먹으며 직립자세를 취하게 되는 만 2세까지 위식도 역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소아구토의 다양한 증상분류 소아구토의 다양한 증상분류
구토의 원인에 따라 매우 다양한 증상들이 동반될수 있다.
1_ 건강한 신생아에서 게우기 → 위식도 역류: 게우기는 식도 하단의 괄약근이 미숙해서 위의 내용물 일부가 저절로 역류되어 나오는 현상으로 생후 9~12개월까지 흔하게 볼 수 있다. 가벼운 위식도 역류는 거의 정상적인 것으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식도와 기도는 붙어 있기 때문에 구토물이 호흡기를 자극하여 폐렴을 일으키기도 하고, 천식이나 식도염, 빈혈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2_ 구토와 함께 복통, 설사, 발열 등을 동반 → 장염: 장염은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의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설사를 일으키는 로타 바이러스 감염이 가장 많다.
3_ 주기적으로 보채거나, 딸기쨈과 같은 혈변 → 장중첩증: 장중첩증은 대장과 소장 부위 창자가 서로 안으로 말려들어간 상태를 말하며 말려 있는 창자가 24시간이 넘으면 썩기 때문에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4_ 구역질 없이 왈칵 토한거나 경련, 두통이 동반되고 대천문이 팽팽해지면서 심하게 보챌때 → 뇌 질환: 뇌질환으로 뇌압이 증가하면 구토가 생길수 있다.
5_ 토해낸 음식에 노란 위액이 섞여 있다.심한 경우 혈액이 섞이기도 한다. →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6_ 우유, 콩, 계란, 해물 등 특정 음식을 먹을 때마다 토한다 → 음식 알레르기


소아구토 발생 시 긴급 대처방법, 대처 요령

 1_ 먼저 입안의 음식물을 제거한다. 아이가 토할 때는 당황해 하지 말고 입안의 음식물을 잘 토해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를 엎드린 자세에서 머리 쪽으로 가볍게 등을 두드려 주거나, 바로 누운 자세에서 고개를 옆으로 돌려 입안의 음식물을 제거하여 주는 것이 좋다.
2_ 옷과 입 주위를 청결하게 해 준다. 토한 냄새 때문에 계속해서 토할 수 있으므로 토하고 난 후에는 아이의 입안을 헹궈주고 젖먹이 아이의 경우에는 젖은 가제를 손에 감아 입안을 깨끗이 닦아주면 된다.
3_ 토한다고 무조건 금식을 시키지 보다는 따뜻한 보리차를 한두 숟갈 먹여본다던가 약국에서 ‘에레드롤'이나 ‘페디라’같은 전해질 용액을 사서 먹이는 것도 좋다. 그렇지만 흔히 알고 계신데로 보리차 대신 설탕물 혹은 소금물, 그외에 일반적인 이온음료등은 탓수를 더옥 조장시킬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한다. 그 외 아기가 대변을 언제 보았는지 확인한 대변에 피가 섞여 있는지, 주기적으로 보채는지등을 확인하여 병원에 오시면 진단하는데 매우 도움을 줄 수 있다.


잦은 구토아를 둔 엄마의 주의 사항

1_ 위식도 역류: 수유 후 바로 눕히지 말고 몸을 세우고 트림을 시키도록 한다. 분유를 좀더 진하게 먹이거나 묽은 쌀미음을 분유에 섞어 주는 것도 좋은 방법. 너무 자주 게워 내거나 체중이 늘지 않는다면 병원으로 가야 한다.
2_ 바이러스성 장염: 장염으로 설사한 아이의 변이 묻은 옷은 다른 세탁물과 분리하여 살균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이렇게 해 보세요 구토와 설사가 심하면 탈수를 막기 위해 수분과 전해질을 먹이고 열이 심하게 나면 해열제를 먹인다.

오늘은 이렇게 소아구토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주니의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성난청이란??  (0) 2018.01.04
성인기침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18.01.04
과체중과 비반  (0) 2018.01.04
간질(성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18.01.04
간농양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18.01.04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